기초 프로그래밍 주차/기초 프로젝트 7

기초 프로젝트 코드 분석 #4

원래 TIL에 오늘 워낙 많이 적어놔서 스크롤 압박이 심할 것 같아서 여기다가 따로 정리해야 될 것 같았다  기초 프로젝트 코드 분석 #4이 코드는 아동복(Baby/Children)을 구매한 고객들이 함께 구매한 다른 품목이 무엇인지 분석하고,해당 품목의 구매 비율(%) 을 계산하여 표로 나타내는 코드다.즉, 아동복을 구매하는 고객이 추가로 어떤 품목을 가장 많이 구매하는지를 알아보기 위한 분석이다.  1. 날짜 형식 변환 tran_df["t_dat"] = pd.to_datetime(tran_df["t_dat"]) 2. 거래 데이터와 상품 정보 병합 tran_merged = tran_df.merge(    art_df[['article_id', 'index_group_name']],     on='art..

250327_Data_6기 TIL 28일차 - 기초 프로젝트 발표 대본

250326_Data_6기 TIL 27일차 오늘은 팀원들과 프로젝트 발표용 ppt를 완성하고 몇번 수정하는 과정을 거쳤다.나는 영상 발표를 맡았어서 오늘은 ppt 내용 조정과 영상 촬영 대본 작성 및 촬영을 주로 하였다.특별히 적을 사항이 없어 ppt를 보며 어떻게 내용을 전달할 지 기록한 대본을 올려 둘려고 한다ㅋㅋ PPT 대본 1p. 안녕하세요 Print 21조 영상 발표를 진행하게 된 000이라고 합니다성장을 입히는 브랜드 : H&M 아동복을 통한 장기 고객확보 전략 발표를 시작하도록 하겠습니다. 2p. 발표 시작에 앞서 목차부터 말씀드리자면 크게 H&M 브랜드 분석, 데이터 분석 준비, 가설별 분석 및 검증이 되겠고 세부적으로는 아래에 명시된 순으로 안내해 드리겠습니다.3P. h&m에 대한 브랜드..

250326_Data_6기 TIL 27일차 - 기초 프로젝트 사고 과정 기록

250326_Data_6기 TIL 27일차 오늘은 전반적인 마무리 단계에 들어섰다. 전반적인 사고 과정을 기록해두면 좋을 것 같아서 오늘은 그 작업을 해보려 한다.  프로젝트 주제 : [커머스] H&M 고객/매출 데이터 분석  h&m 도메인 분석 "패스트 패션" 대표 브랜드 중 하나→ 트렌디한 옷을 빠르게 제작하고 저렴하게 판매하는 전략 🌱 지속 가능성 (Sustainability)H&M은 최근 몇 년간 지속 가능성에도 많은 투자를 하고 있다 :의류 리사이클 프로그램 운영 (매장 내 헌 옷 수거함)2040년까지 기후 중립 목표 선언  간략한 데이터 EDA 과정 진행 후 대주제 설정  대략적인 데이터 구조 파악과 간략한 분석을 진행하였다.   카테고리별 상품 구성 비율과 카테고리별 매출 비율을 분석했을 ..

250325_Data_6기 TIL 26일차 - 기초 프로젝트 분석

250325_Data_6기 TIL 26일차   어제 하다가 마치지 못했던 시즌성 가설 검증을 완료하고 분석 결과 해석과 인사이트 도출을 진행해보도록 하겠다. 시즌성 가설  2-5. 여름 시즌 옷들에 비해 가을 시즌 옷의 평균 단가가 높아 높은 매출 증감률을 보이는 것인가? 아동복과 전체 품목의 월별 평균 단가를 조사해본 결과 실제로 9월의 제품 평균 단가가 급격히 올라가는 것을 알 수 있었다!매출은 1월이 제일 높은데 9월의 단가가 제일 높은게 조금 찜찜하긴 했지만 그래도 9월을 잘 타겟팅한 것 같다. 왜냐하면 9월의 의류상품이 단가가 가장 높아 9월 매출 증진이 전체 매출에 가장 효율적으로 작용할 것 같으니까..ㅋㅋ

250324_Data_6기 TIL 25일차 - 기초 프로젝트 분석

250324_Data_6기 TIL 25일차  오늘은 설정해둔 가설을 토대로 가설 검증을 위한 분석을 진행하였다.그럼 다듬은 서론과 주제부터 다시 정리하고 가설과 진행한 분석에 대해 알아보자.  서론  H&M은 ‘지속 가능성(sustainability)’을 브랜드의 핵심 키워드로 설정하며, 친환경적이고 윤리적인 생산 과정을 강조하고 있다. H&M의 상품 구조를 살펴보면 여성의류가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며, 그 다음으로는 아동의류(Baby/Children)의 비중이 크다. 그러나 H&M의 아동의류 품목은 상대적으로 매출이 낮아, 이러한 지속적인 투자의 이유에 대한 의문이 제기된다. 여기서 H&M이 강조하는 ‘지속 가능성’이 단순히 환경적 측면만이 아니라, 고객층의 지속 가능성을 포함하고 있다고 가정하였다...

250321_Data_6기 TIL 24일차 - 기초 프로젝트 토대 쌓기

250321_Data_6기 TIL 24일차  오늘은 어제 어그러진 주제로 인해 새로 대주제를 설정하고 가설을 세우고 검증하기 위한 토대를 쌓는 데이터 EDA를 중점적으로 진행하였다. 팀원들과 많은 이야기를 주고 받으며 차근차근 구체화 해 나갔다. 주제를 먼저 세우고 기업 조사를 하고 데이터 EDA를 하기보다는 기업조사와 데이터 EDA를 진행 한 뒤에 그 안에 인사이트를 한번 도출해보는 시간을 가졌다. 그래서 우리가 세운 주제와 서론에 대해 이야기 해보도록 하겠다. 브레인 스토밍“지속 가능성” 어릴때부터 H&M을 입었던 고객들이 커서도 h&m을 이용하는 장기고객층 마련을 위한 Baby / Children , Divide 매출 증진?  서론   h&m 브랜드의 키워드는 '지속 가능성'이고 깨끗한 생산 과정과..

250320_Data_6기 TIL 23일차 - 기초 프로젝트 시작

250320_Data_6기 TIL 23일차  일단 오늘 계획한 일은 단 하나도 하지 못했다.! 기초 프로젝트 발제를 시작으로 아티클 스터디 거르고 주제 설정하고 세부 주제까지 설정해서 데이터 EDA 시작할려고 했는데 해당 데이터가 유의미한 통계를 못 낼 거라고 튜터님께서 주제를 바꾸라고 권유하셨다...그래서 [커머스] H&M 고객/매출 데이터 분석 급하게 주제를 바꾸고 다시 주제를 선정하느라 시간이 다 가버렸다.ㅋㅋㅋㅋㅋ이게 TIL이 맞나..?하루 종일 ERD랑 데이터 테이블을 보고 있었다 !!